본문 바로가기

세상이야기

면역 체계가 자기와 비 자기 인식



"경구면역관용 '은 현대 과학으로도 아직까지 그 구조는 밝혀지지 않았지만, 그 현상은 옛날부터 잘 알려진 경험적으로 생활에 이용되어왔다. 그 사례로 "옻칠 장인 '의 이야기가 잘 알려져있다. 옻칠은 피부에 닿으면 발진 (알레르기)을 일으킨다. 그러나 옻칠 장인은 그런 것을 말하지 않을 수 없다. 그래서 옻칠 장인의 자녀가 어릴 때부터 옻칠을 조금씩 접촉하게되고, 옻 알레르기를 막고 있었다. 즉, 입에서 부터 들어 있던 옻칠 = 무해한 것으로 판단됩니다( "경구 면역 관용」 성립) 그 이후에는 옻칠이 피부에 닿아도 피부 면역 체계가 반응하지 않는 구조다. 과학적인 메커니즘을 알지 않고도 선인은 경험을 쌓아 그 현상 잘 이용할 수 대대로 전해왔다. 선인들의 지혜 (그리고 용기)에 송구할 뿐이다. 

최근 주목 받고있는 '식품 알레르기의 경구 면역 요법'은 '옻칠 장인의 지혜 "의 현대판이라고도 할 수 있는  경험적인 지혜로 잘 활용해도 과학적인 메커니즘은 아직 알려지지 않은 ... 이것은 과학적인 접근법에 뭔가  차이를 간과하기 때문에 일지도 모른다. 다음 "식품 알레르기가 일어나는 것은 경구 면역 관용의 이상이나  면역 체계가 자기와 비 자기 인식등 과학적인 상식 · 정설이 정말 옳은 것인가? 등을 단면으로 생각해 보자.